세전 연봉 4천인데 왜 월급이 270만 원?" 세전 연봉과 실수령액, 어디서 차이가 나는 걸까요?
4대 보험부터 세금까지, 직장인이 알아야 할 월급 계산법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목차
-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는 왜 생길까?
- 직장인의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 총정리
- 실수령액 계산 공식: 단계별 해설
- 연봉별 실수령 월급 실전 예시 (2,400~6,000만 원)
- 연봉 인상보다 중요한 실수령액 증가 전략
- 연말정산과 실수령액의 관계
- 월급관리 꿀팁: 실수령액 기준 예산 잡는 법
- 자주 묻는 질문(Q&A)
- 직장인 재테크의 시작은 '내 월급 정확히 알기'
- 실수령액 자동 계산기 추천 및 활용법
1.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는 왜 생길까?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이나 연봉협상 시 가장 먼저 묻는 말:
“연봉 4천이면 월급 얼마예요?”
하지만 이 질문은 반쯤 틀렸습니다.
세전 연봉과 실제 내가 손에 쥐는 금액은 전혀 다르기 때문이죠.
실수령액은 단순히 12로 나눈 숫자가 아니라,
4대 보험료, 세금, 주민세, 고용보험, 건강보험료 등을 모두 공제한 뒤의 금액입니다.
2. 직장인의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 총정리
월급 명세서를 보면 이렇게 빠져나갑니다:
국민연금 | 소득의 4.5% (회사 4.5% 부담) |
건강보험 | 소득의 3.545% (장기요양보험 포함 시 약 7%) |
고용보험 | 소득의 0.9% |
소득세 | 과세표준에 따른 누진 세율 적용 |
주민세 | 소득세의 10% 부과 |
즉, 연봉 4천만 원이면 연간 약 450~600만 원 수준이 세금과 보험료로 나가게 됩니다.
3. 실수령액 계산 공식: 단계별 해설
STEP 1. 연봉 ÷ 12 → 월 급여(세전) 계산
STEP 2. 월 급여 × 4대 보험료율 → 보험료 차감
STEP 3. 과세표준 기준으로 소득세 및 주민세 계산
STEP 4. 세전 급여 - 공제 총액 = 실수령액
예를 들어, 연봉 4,000만 원 기준:
- 세전 월급: 약 333만 원
- 공제액: 약 60~70만 원
- 실수령액: 약 260만~270만 원
4. 연봉별 실수령 월급 실전 예시
2,400 | 200 | 약 170만 원 |
3,000 | 250 | 약 210만 원 |
4,000 | 333 | 약 270만 원 |
5,000 | 416 | 약 330만 원 |
6,000 | 500 | 약 390만 원 |
※ 직급·가족수·비과세 항목 유무에 따라 소폭 변동될 수 있습니다.
5. 연봉 인상보다 중요한 실수령액 증가 전략
- 비과세 수당 활용: 식대, 교통비, 자녀학자금 등
- IRP, 연금저축 세액공제로 연말정산 환급 확보
- 의료비, 교육비 등 세액공제 항목 정리
- 연봉 100만 원 인상보다 실수령액 20만 원 유지가 더 현실적 이득일 수 있습니다.
6. 연말정산과 실수령액의 관계
연말정산은 말 그대로 '정산'입니다.
월급에서 너무 많이 떼었다면 환급을 받고, 덜 뗐다면 추가 납부합니다.
따라서 연말정산을 통해 실수령액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세요.
7. 월급관리 꿀팁: 실수령액 기준 예산 잡는 법
- 30:30:30:10 원칙 적용
- 30% 고정지출(월세, 대출 등)
- 30% 생활비
- 30% 저축 및 투자
- 10% 여유 자금(자기계발, 비상금 등)
👉 중요한 건 세전이 아닌 실수령액 기준으로 예산을 짜야 한다는 점!
8. 자주 묻는 질문 (Q&A)
Q. 연봉만 보고 실수령액을 알 수 있나요?
A. 대략적인 계산은 가능하지만, 가족 수, 부양가족 여부, 비과세 수당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Q. 세전 300만 원이면 세후는 얼마일까요?
A. 약 240만 원 전후 (4대 보험과 소득세에 따라 달라짐)
9. 직장인 재테크의 시작은 '내 월급 정확히 알기'
재테크, 투자는 커녕 월급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겠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내가 실제로 받는 돈이 얼마인지 명확하게 아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그게 곧 돈이 새는 걸 막고, 미래를 준비하는 첫 걸음입니다.
10. 실수령액 자동 계산기 추천
👉 이 도구들을 이용하면 입력 몇 번으로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
🔗 관련 글 보기
2025.05.10 - [분류 전체보기] - 수입과 소득의 차이점? 제대로 알면 돈이 보입니다!
2025.05.10 - [분류 전체보기] - 비과세 수당 정리...실수령액 늘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당신의 실수령액, 알고 계셨나요?
댓글로 연봉과 실수령액 간 차이를 느꼈던 경험을 나눠주세요.
이 글이 유익했다면 구독과 공유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