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된 후, 헌법재판소 인근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모였던 시위대가 해산했다. 경찰은 충돌이나 폭력 사태를 우려하여 헌재 인근을 '진공 상태'로 만드는 등 경계를 강화했으나, 큰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헌재 인근 탄핵 찬성 측 집회
탄핵 찬성 측 집회는 탄핵 인용 직후 해산하는 분위기였다. 오후 2시쯤 경찰은 집회 현장에 세워뒀던 기동대 버스를 철수시키기 시작했고, 시민들은 서로 "수고했다"는 인사를 나누며 집회 현장을 떠났다.
헌재 인근 탄핵 반대 측 집회
같은 시각, 헌재 인근 수운회관 쪽에 모여있던 탄핵 반대 측 집회 참가자들도 대부분 해산하고 30명 정도만 남아 자리를 지켰다. 일부 지지자들은 "우리 이제 어디로 가야 하냐"며 하소연하기도 했다.
안국역 교통 통제 해제
오후 3시쯤 안국역 1번 출구 일대를 지키던 기동대 경찰들도 철수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오후 4시 32분을 기준으로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을 다시 개방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탄핵 선고 전후 집회 인파가 몰릴 것을 예상하여 안국역을 폐쇄하고 지하철을
무정차 통과시켰었다.
한남동 탄핵 찬반 집회
대통령 관저가 있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서 열렸던 탄핵 찬반 집회도 탄핵심판 결과가 나온 후 곧바로 해산하기 시작했다. 촛불행동이 탄핵 촉구 집회를 열었던 한남동 일신빌딩 앞은 오후 12시 45분쯤 집회 차량과 경찰통제선을 모두 철거했다.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 (대국본) 집회
탄핵 반대 측인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도 "오는 5일부터 광화문에서 국민저항권 발동을 위한 집회를 열겠다"며 오후 3시쯤 해산했다. 일부 지지자들은 ‘윤석열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배지를 달고 경찰, 기자를 따라다니며 부부젤라를 불기도 했다.
소동 및 비상 근무 해제
탄핵 찬반 집회에서는 일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소동을 벌이기도 했으나 큰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헌재 인근에서 헬멧과 방독면을 쓴 남성이 경찰버스 유리창을 곤봉으로 깨 경찰에 붙잡혔고, 한남동 관저 인근에서는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한 남성이 분신을 시도하려 한다는 신고가 있었으나 현장에서 인화성 물질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찰은 오후 6시부로 근무 단계를 ‘갑호 비상’에서 ‘을호 비상’으로 하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