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헷갈리는 맞춤법 모음 – 한국어 글쓰기 꿀팁 총정리!

by 역경지수 2025. 5. 25.

 “자주 틀리는 ‘안 되요’, ‘않하다’, ‘안음’부터 ‘왠지’, ‘왠만하면’까지! 글쓰기 실수를 줄이는 맞춤법 정리집입니다.”

맞춤법 모음


목차


1️⃣ ‘안 되요’ vs ‘안 돼요’
2️⃣ ‘않하다’ vs ‘안 하다’
3️⃣ ‘안음’ vs ‘않음’
4️⃣ ‘왠지’ vs ‘웬지’
5️⃣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6️⃣ ‘돼’ vs ‘되’
7️⃣ ‘않는다’ vs ‘안는다’
8️⃣ ‘할께’ vs ‘할게’
9️⃣ ‘맞히다’ vs ‘맞추다’
🔟 ‘틀리다’ vs ‘다르다’


1️⃣ ‘안 되요’ vs ‘안 돼요’

  • 정답: 안 돼요
  • ‘되다’의 줄임말 ‘돼’ + 부정 ‘안’
  • ❌ “안 되요”는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

2️⃣ ‘않하다’ vs ‘안 하다’

  • 정답: 안 하다
  • ‘않’은 동사 ‘않다’로만 쓰이며, ‘안 하다’처럼 동사와 결합해야 자연스러운 표현.

3️⃣ ‘안음’ vs ‘않음’

  • 정답: 않음
  • ‘안음’은 표준어 아님!
  • ‘않다’의 명사형은 ‘않음’입니다.

4️⃣ ‘왠지’ vs ‘웬지’

  • 정답: 왠지
  • ‘왜인지’의 준말.
  • ex) 오늘은 왠지 기분이 이상해.

5️⃣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 정답: 웬만하면
  • ‘웬만하다’는 “어지간하다”라는 뜻.
  • ex) 웬만하면 오늘 중으로 끝내자.

6️⃣ ‘돼’ vs ‘되’

  • 정답 구별:
    • ‘돼’: ‘되어’의 준말, 자연스러운 구어체
    • ex) “이거 ?”
    • ‘되’: 사전형, “되다”
    • ex) “이게 될까요?”

7️⃣ ‘않는다’ vs ‘안는다’

  • 정답: 않는다
  • ‘안는다’는 ‘껴안는다’라는 뜻.
  • ‘않는다’는 ‘아니 하다’의 준말.

8️⃣ ‘할께’ vs ‘할게’

  • 정답: 할게
  • ‘할게’는 ‘할 거야’의 줄임말.
  • ‘할께’는 존재하지 않는 표현.

9️⃣ ‘맞히다’ vs ‘맞추다’

  • 정답 구별:
    • 맞히다: 정답을 찾아내거나 맞게 하다. (퀴즈 정답 맞히다)
    • 맞추다: 일치시키거나 조정하다. (옷을 맞추다, 시계를 맞추다)

🔟 ‘틀리다’ vs ‘다르다’

  • 정답 구별:
    • 틀리다: 옳지 않다. (오답, 오류)
    • 다르다: 비교 대상과 차이가 있다. (성격이 다르다)

결론: 맞춤법 실수, 이렇게 정리하세요!

많이 헷갈리던 맞춤법, 이번 기회에 확실히 정리하세요!
이처럼 작은 맞춤법 실수 하나가 글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블로그, SNS, 직장 문서에서도 ‘안 되요’ vs ‘안 돼요’처럼 세심한 맞춤법 관리가 필요하답니다.
오늘부터는 헷갈릴 때마다 이 정리글을 다시 보며, 글의 완성도를 높여보세요!

👉 외부 링크: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으로 더 알아보기


CTA (Call To Action)

💬 여러분이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맞춤법 관련 추가 콘텐츠를 원하시면 구독도 부탁드립니다!


출처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